반응형
중위소득 알아보기
정부에서 각종 복지 정책이 쏟아질 때,
꼭 함께 따라오는 말이 있다. 바로 "중위소득"이다.
각종 복지 혜택의 수혜자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 무슨 뜻일까?
함께 보면 좋은 글
- 건강보험료 개편 내용 (2022년 9월 시행)
- [농지연금] 농지연금으로 노후 대비하기 - 가입조건, 지급방법 등
- 배 요금 할인받기 "바다로" - 울릉도/제주도 50% 할인
- 2022년 기준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연봉 순위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소득을 줄 세웠을 때 소득 순위의 중간에 위치하는 소득이다.
매년 정부에서는 이 '중위소득'을 발표하여 각종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삼는다.
2022년 중위소득 기준은
보건복지부 고시 중 "2022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 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 중위소득 기준으로 30~250% 까지 중위소득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다.
매번 중위소득을 찾아보지 말고 아래 표를 저장해서 참고 하자
월소득을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어떻게 내 중위소득을 알까?
중위소득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정부24에서 제공하는 중위소득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은 아래와 같다.
중위소득 100% 기준
중위소득 150% 기준
반응형
'생활 꿀팁 > 일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자동차에 '이 장치' 부착이 의무화됩니다. (0) | 2022.03.25 |
---|---|
의류 건조기 화재, '이렇게' 하면 화재가 납니다 (0) | 2022.03.23 |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 (7월 시행 내용) (1) | 2022.03.20 |
산소포화도 측정기로 코로나 대비하기 (0) | 2022.03.20 |
SKT T 멤버십 할인혜택 모아보기 (2022년 (0) | 2022.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