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꿀팁/일상 꿀팁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점 - 유통기한 지난 식품 먹어도 될까

촙이촙이 2022. 6. 18. 17:15
반응형

오늘은 소비기한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소비기한 외에도 유통기한 또한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소비기한 및 유통기한이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소비기한 유통기한 

 

마트에서 식료품을 구매할 때 흔히 유통기한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 "유통기한"이 2023년부터 사라지게 됩니다.

유통기한이 사라지면 어떤걸 보고 식료품을 사야될까요 ?

2021년 8월 17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2023년 1월 1일부터 유통기한을 대신해 "소비기한"이 시행됩니다.

소비기한 유통기한

 

소비기한 유통기한 차이점

유통기한이란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을 뜻 합니다.
즉, 제품을 제조자가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기한"입니다.

소비기한이란 유통기한을 넘어서 소비자가 "먹어도 안전한 기한"을 뜻 합니다.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제 2조 12항
: "소비기한" 이란 식품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말한다.


위의 법률에 정해진 바와 같이 소비기한이 남아있더라도
"정해진 보관 방법"에 의해 보관되었을 때만 섭취하시는게 좋습니다.

 

왜 이렇게 바뀌는 걸까요 ?

 

소비기한을 사용하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탄소 배출량이 줄어듭니다.

유통기한의 경우 최종 소비할 수 있는 기한의 60~70% 정도로 산정을 하는 반면,
소비기한은 80~90% 정도로 산정합니다.

즉,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조금 더 길다고 보면 됩니다.
그 동안 유통기한이 조금 지나서 버려지던 아까운 음식물들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아껴지는 돈이 대략 10년 간 7조 5천억원이 된다고 합니다.


소비기한•유통기한 영어로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유통기한은 Shelf Life (Sell-by-date)
소비기한은 (Use by date)라고 합니다.

 

글을 마치며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은 식품의 특성과 유통과정을 고려하여
전문 검사원의 오감을 통한 검사와 미생물 검사, 화학성분 검사, 물리적 검사를 통해 결정됩니다.
일본, 미국, 유럽 등에서도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정해진 기한에 따라 음식을 섭취하시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