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뉴스

체감 온도 산출법과 의미 알아보기

by 촙이촙이 2022. 6. 7.
반응형

 

체감온도란 무엇인가


일기 예보를 보면 오늘의 기온과 체감 온도를 함께 표기하곤 합니다.
실제 기온과 체감 온도의 차이는 무엇이 다른걸까?

체감온도
기온과 체감 온도

 

체감 온도 뜻


체감 온도는 바람과 한기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에 느껴지는 온도이며, 영어로는 Sensible Temperature라고 합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체감온도는 다를 수 있는데,
기상청에서는 이를 수식으로 정량화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름과 겨울에 느껴지는 체감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주로 여름철 (5~9월)과 겨울철 (10~4월)을 구분하여 공식을 표현합니다

여름 체감온도
체감온도가 높아지는 여름


여름철 체감 온도는 아래 공식을 사용합니다.

이 체감온도를 기반으로 하여 폭염특보가 이루어집니다.
일최고 체감온도가 33도(주의보)나 35도(경보)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 폭염 특보가 발령됩니다.
올해는 체감 온도 공식을 조정(+3.5 -> +3.0)하여 이전 대비 특보가 내려지는 날은 줄어들 전망입니다.

[여름철 체감 온도 공식]

체감온도 = -0.2442 + 0.55399*Tw - 0.0022*Tw^2 + 0.00278*Tw*Ta + 3.0

* Ta: 기온(°C), Tw: 습구온도 (°C), RH: 상대습도(%), ATAN: arctangent function


겨울철 체감 온도는 아래 공식을 사용합니다.
다만, 기온이 10°C 이하, 풍속 1.3m/s 이상일때만 산출 합니다.

겨울 체감온도
체감온도가 낮아지는 겨울

[겨울철 체감 온도 공식]

체감온도 = 13.12 + 0.6215*T - 11.37*V^(0.16) + 0.3965*T*V^(0.16)

* T : 기온(°C), V : 풍속(km/h)
** 겨울철 체감온도는 기온 10°C 이하, 풍속 1.3m/s 이상일때만 산출 합니다.

 


과거 체감온도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기후통계분석:응용기상분석:체감온도]

체감온도란 인간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여름철(5~9월)과 겨울철(10~익년 4월)을 구분하여 제공합니다.  여름철 체감온도는 일 최고 체감온도를 제공합니다. ※ 2022.6.

data.kma.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