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일상 꿀팁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단위, PM10, PM2.5, 황사 차이점

by 촙이촙이 2023. 1. 9.
반응형

오늘은 미세먼지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 글을 다 읽으시면 미세먼지에 대해 이해하시게 될 것이며, 미세먼지 단위 또한 알게 될 것 입니다.
미세먼지 농도 및 미세먼지 단위가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세먼지

겨울~봄이 되면 항상 찾아오는 불청객인 미세먼지가 있습니다.
미세먼지 관련 뉴스를 보면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PM10, PM2.5 등의 말이 나옵니다.
미세먼지가 몸에 좋지 않은 것은 다들 아는 사실이지만,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구분은 어떻게 할까요?

미세먼지 농도

먼저, 미세먼지의 크기 단위로는 ㎛를 사용합니다. m에 마이크로(10의 -6승)이 곱해진 것으로 마이크로 미터라고 읽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단위이니, 몸 속에 쉽게 침투하여 건강에 매우 해롭습니다.
미세먼지의 농도로는 ㎛를 ㎥으로 나눈 ㎛/㎥를 사용합니다. 1㎥의 공간에 들어있는 미세먼지의 양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일기예보에서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으로 구분하여 예보를 합니다.
구분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좋음 : 0 ~ 30 ㎛/㎥
- 보통 : 30 ~ 80 ㎛/㎥
- 나쁨 : 80 ~ 150 ㎛/㎥
- 매우나쁨 : 151~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구분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구분은 미세먼지의 크기로 결정됩니다.
10㎛보다 작은 먼지는 미세먼지(PM10)로 구분되며, 2.5㎛(PM2.5)보다 작은 먼지는 초미세먼지로 구분됩니다.
머리카락의 일반적인 직경이 60㎛ 수준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 차이점

황사는 바람이 불면서 흙이나 모래가 날리다가 지표에 떨어지는 자연적인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 크기도 미세먼지와 유사하며, 우리나라에는 흔히 중국 사막의 모래가 날려와 황사를 일으킵니다.

반면, 미세먼지는 주로 산업 활동에서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주로 봄철에 심해지는 황사와는 달리 연중 발생되는 먼지입니다.

미세먼지 농도 한눈에 보기

미세먼지 농도는 에어코리아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상가스 농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에어코리아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